중국에서 가장 적응되지 않는 것 중 한 가지를 뽑으라면 권장 소비자가격이 없는 오픈 프라이스제도는 10위권 안에 들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 그런 불편 때문에 요즘에는 정찰가격제 또는 권장소비자가격을 제시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는 편이다.
반면에 한국은 2010년 7월 1일부터 권장소비자가격표시 제도가 폐지되었다. 우선 일부 품목에 한해 시행되었지만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보도자료를 보면 소비자들이 이미 가격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권장소비자 가격이 필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늘 가격을 잘 아는 물품만 사는 것은 아니다. 가격을 잘 모르는 상품들은 가격을 일일이 알아봐야 하는 불편이 생기고 가격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바가지 가격으로 구매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오픈 프라이스 제도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다 보면 평소에 잘 알던 가격도 헷갈리기 마련이다.
보통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소비자가격이 표시되어있는 물품도 마트가격이 따로 적혀있기 때문에 큰 불편은 없다. 하지만 대형마트가 아닌 일반 슈퍼에서 부족한 공간에 판매가격을 또 기재해야 하는 불편이 생겼다. 이것 또한 대형마트를 살리고 일반 슈퍼를 죽이는 행각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거 얼마에 원하세요?’
중국에서 가격흥정을 하다 보면 흔히 듣는 말이다. 내가 원하는 가격에 줄 것도 아니면서 꼭 얼마에 원하는지 물어본다. 파는 사람이 사는 사람에게 가격을 물어보는 황당한 시츄에이션, 웬지 한국에도 나타날 것 같은 어이없는 느낌이 든다.
'북경A4프로잭트 > 大 韓 國 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청률 안 따지던 그 때가 그립다. (0) | 2010.08.10 |
---|---|
외국인이 말하는 한국의 ‘이해불가’ 직장문화 (1) | 2010.07.28 |
2% 부족한 ‘위고’광고 (4) | 2008.07.04 |
한국 영어 수준은 세계 뒤에서 2등? (14) | 2008.06.04 |
욕설 비난의 천국 다음 아고라, 세계엔 (2) | 2008.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