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보통 월세, 전세, 매매로 나누어 진다면 중국은 월세, 매매 두 가지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아직 신용사회가 아니라서 전세를 할 만큼의 믿음을 사고 팔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월세)
5천만원 이상
(월세 x 100만원 + 보증금) x 0.5% = 중개수수료
5천만원 미만
(월세 x 100만원 + 보증금) x 0.5% = 중개수수료
예) {월세(30만원) x 70만원 + 보증금(100만원) } x 0.5% = 11만원
중국의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월세)
3000위안(한화 약 525,000원) 이상
1개 월치 월세 집주인 부담
3000위안(한화 약 525,000원) 이하
1개 월치 월세 세입자 부담
최근 북경의 원룸 평균가격은 약 3000위안 정도가 되어버렸습니다. 정말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게 오르고 있네요. 북경은 아파트 단지마다 몇 십개의 부동산이 밀집되어 있을 정도로 부동산 열기가 식지 않고 있는데요. 입에 비누를 물었는지 거품이 빠질 줄 모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월세를 구하려는 외국인들이 늘어나자 외국인을 전문적으로 사기치는 사람들도 극성을 부리고 있습니다. 월세계약을 하기 전에 반듯이 부동산증(房产证)과 신분증과 집주인이 일치 한지 꼭 확인해 보시고 계약하세요~~
마지막으로 집 계약할 때 꼭 중국어를 잘 하는 친구나 통역가능한 부동산을 데리고 가시기 바랍니다. 계약서(合同书)에 고의적으로 3개월에 한 번씩 집 가격을 변동한다거나 중앙난방비, 관리비 지급 안 한다는 등 여러 가지 불이익을 기재할 수도 있습니다.
'북경A4의 중국통되기 >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아내와 한국아내의 차이점 (9) | 2010.08.19 |
---|---|
중국 연변의 개고기 라면 (6) | 2010.08.18 |
감동을 준 어느 중국 사진작가 이야기 (0) | 2010.07.29 |
중국은 사진을 무서워하는 나라 (2) | 2010.07.29 |
쌀알이 보이는 중국식 막걸리 (0) | 201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