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해외유학, 해외연수라는 개념은 선택이 아닌 필수코스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서 못 간다고 하는 사람이 없어질 정도로 대학교 입학해서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 해외연수를 떠나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저 역시 처음 중국으로 유학 온 것도 한국에서 1년간 노동직으로 돈을 모아 해외유학비를 마련해 중국으로 왔습니다.
다양한 경험이 필요한 현 88세대의 청년들은 상식을 뛰어넘는 모험을 함으로써 스펙위주의 SKY대학교 졸업한 학생들과 다른 방향으로 경쟁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만난 한국인 유학생들은 일반적인 대학생들이 쌓아가는 스펙과는 조금 다른 모험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북경A4가 처음 중국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돈이 아닌, 인생의 시계를 조금 늦춰보고 싶어서 중국으로 오게 되었습니다. 제가 느낀 한국의 사회는 너무 빠르고 지쳐있는 사회였고, 한 주의 지친 몸을 술로 달래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주변의 친구들도 그런 생활을 보내고 있고요. 하지만 중국은 한국과 많이 다릅니다. 정시에 출근해서 정시에 퇴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주말의 휴식의 거의 보장되어 있어서 자기의 시간이 많은 편입니다. 상사들이 술 먹자고 부하직원들을 괴롭히는 경우도 없습니다. 가끔 있는 회식시간에 기분 좋게 이야기하며 밥을 먹으면 그만입니다. 오늘은 어떤 식으로 윗 사람에게 잘 보여야 할까?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 스스로 맡은 업무에 충실하면 그만입니다. 하지만 외국인이 중국회사에 입사할 수 있는 공간이 너무 제한적이라는 안타까움이 있었습니다.
많은 경험만이 정답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조금 남다른 스펙을 쌓고자 해외로 연수를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작 도착한 해외에서 단순히 언어만 배우다가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언어는 한국에서도 충분히 배울 수 있는데 말이죠. 저는 중국에 도착해서 가장 먼저 한 일이 바로 길거리 탐방입니다. 당시 저는 기숙사에 살았기 때문에 학교 이름만 알 면 얼마든지 집을 찾아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하며 ‘안녕하세요!’, ‘ㅇㅇ대학교가 어디인가요?’이 두 마디만 가지고 이리저리 다니며 중국을 스스로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이게 수십 번 길을 물어가며 중국인과 익숙해지고 싶어서 한 이런 모험들이 결국 쉽게 중국친구를 사귈 수 있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학부모님께 당부하고 싶은 것은?
‘엄마! 여기 환율이 올라서 용돈 20만원 더 올려줘야 해~’환율이 얼마나 올랐기에 용돈이 20만원이나 늘어나는 건지 그것도 모르는 어머님은 ‘그래? 넉넉히 30만원 줄 테니 굶지 말고 잘 먹고 다녀~’라며 아이들의 유흥비를 늘여주고 있습니다. 무지한 부모님의 아이들의 일탈을 돕고 있는 셈이네요.
어느 기업 간부가 ‘중국유학생들은 다 개판이다.’라고 비판했다는 소리를 듣고 기분 나빠서 이렇게 몇 글자 적습니다. ‘그렇게 말하는 너희들 눈은 폼으로 달고 다니냐? 인재 없다고 말하지 말고 인재를 좀 찾아 다녀라~! 맨날 배부른 소리만 해대니 인제가 보일 턱이 있냐?’ 흠.. 중국에 유학하는 한국인들이 이 사회의 인재로 남기를 바랍니다. – 북경A4 생각 -
'북경A4프로잭트 > 유학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이 외국어를 잘 못하는건 죄가 아니다. (10) | 2011.05.18 |
---|---|
중국에 가서 진정한 중국어를 배워라! (14) | 2010.11.19 |
중국에서 중국어만 공부하면 실패한 유학생활 (10) | 2010.09.26 |
[중국유학] 중국에서도 학과대표는 군대 전역한 한국인 (0) | 2010.09.03 |
[중국유학] 5개월 만에 하는 중국어회화 초급마스터 (5) | 201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