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많은 지방도시와 소수민족들이 결합된 중국의 경우에는 지방 방언만 해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큰 부류로 나누는 광동어, 상하이어, 베이징어 이렇게 3가지는 서로 알아들을 수 없을 만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외에 기타 도시에서 쓰는 지방 방언(사투리)들도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심한 차이를 보이는 언어들이 수십개나 되는 것이 바로 중국 방언입니다. 이런 언어의 차이가 너무 심각한 중국의 현실을 똑바로 정립시키기 위해 제정된 것이 바로 표준어 인데요. 이 표준어 또한 사투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중국의 표준어란?
현대북방언어의 어법? 북경말의 발음?
그런데 왜 북경발음을 기본으로 한다고 했을까요? 많은 중국인들이 공감하는 사실이지만 북경말은 표준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치적 중심지인 만큼 표준어의 정의에 북경이라는 말을 꼭 넣고 싶었기에 현대북방언어의 어법과 북경말의 발음을 기본으로 한다고 기재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북경말 발음이란?
북경어라고 말 하지만 실제로 북경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얼화(儿化)라고 하는 것인데 중국어의 발음 끝에 얼얼거리는 발음이 추가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꽃을 ‘화’라고 발음하는데 얼화가 들어가면 ‘활’이라고 발음되는 것입니다. 이런 얼화의 수준은 일반 중국인들도 전통 북경 발음을 잘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심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북경으로 유학가기 전 3~4개월 동안 기본적인 중국어를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택시를 타면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표준어수평고시?
1급 갑 (97~100점), 1급 을 (92~96.99점), 2급 갑 (87~91.99점), 2급 을(80~86.99점), 3급 갑 (70~79.99점), 3급 을(60~69.99점) 이렇게 나눠져 있습니다.
2급 을부터는 표준어를 구사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 주변에 중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한 한국인 친구의 경우에는 이 시험을 참가해 2급 갑을 받은 친구가 있습니다. 웬만한 지방 중국인 보다 표준어를 더 잘 구사하는 친구라고 볼 수 있겠네요^^
앞으로 나 북경에서 정식 표준어 배운 사람이야~~ 라고 자랑하지는 못할 것 같네요.^^ -북경 A4생각 -
'북경A4의 중국통되기 >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팅하고 한 달 후, 중국CGV다시 가 보니 (8) | 2010.11.27 |
---|---|
중국에서 내 블로그를 말하는 사람을 만나다. (12) | 2010.11.23 |
중국에서 구충약 먹다가 놀림 당한 사건 (20) | 2010.11.16 |
중국을 찾아오는 화교들의 본능 (16) | 2010.11.12 |
한국 여성들의 얼굴이 이쁜건 성형 때문이다? (9) | 2010.11.11 |